본문 바로가기
무선설비기사

무선설비기사 실기 시험 기출 공개_1교시 단답형(1)

by 또롱_세상잡다 2019. 6. 26.
반응형

지난 시간에는 무선설비기사 1교시 중 스미스차트 부분의 풀이법 그리고 답안 작성 요령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는데요!  

무선설비기사 실기 기출 문제, 답안 작성 요령_1교시 스미스차트

 

오늘은 1교시 중 단답형 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단답형은 필기 준비했을때 대부분 공부하셨던 부분이 단답형으로 나옵니다! 

무선설비기사 실기는 총 3교시로 이뤄져있으며 1교시에는 스미스차트, 단답형, 회로 서술형 문제가 나오는데요 

자세한 것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ㅎㅎ 

2019년 제1회 무선설비기사 필기&실기_시험과목, 시험과정, 방법

 

 

 

1.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4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1) 감도 : 미약한 전파 수신 능력

2) 선택도 : 혼신 분리 제거 능력

3) 충실도 : 원음 재생 능력

4) 안정도: 장시간 일정 출력 유지 능력

 

 

2. 페이딩 감소를 위해 다이버시티 방식을 적용하여 통신하려는 경우 페이딩 종류를 2가지 쓰고 설명하시오

1) 공간 다이버시티 : 2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격 설치하여 가장 좋은 신호를 선택 수신하여 페이딩 영향을 개선하는 방식

2) 주파수 다이버시티 : 동일한 정보를 여러개의 주파수에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

3) 시간 다이버시티 : 동일한 정보를 시간 차이를 두어 반복적으로 보내는 방식

4) 편파 다이버시티 : 2개의 편파(수평파, 수직파)를 따로 송수신하여 페이딩 영향을 개선하는 방식

5) 각도 다이버시티 : 전파의 전파 경로 별로 도래각이 다른점을 이용해서 빔의 각도가 다른 복수개의 안테나 수신 전력을 합성 또느 교체 함으로써 수신 전력의 저하를 막는 방식

 

3. CMDA의 전력 제어 방법 2가지를 설명하시오.

1) 역방향 전력제어 : 이동국이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원근문제를 해결하고 양호한 통화품질을 유지하며 용량을 최대로 하기위해 사용하는 방법

2) 순방향 전력제어 : 기지국이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셀 산의 간섭을 경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

기지국에서 멀리 있는 이동국에 큰 송신 출력을 보내고 가까이 있는 이동국에게 작은 송신 출력을 보내는 방식

 

 

 

4. 특성 임피던스가 50옴인 전송선로에 75옴의 부하를 접속했을 때 반사계수와 정재파비는?

1) 반사계수 : l ZL-Zo/ZL+Zo l=25/125=0.2

2) 정재파비 : l ZL/Zoㅣ=1.5

 

5. 다음이 설명에 적합한 안테나 접지 방식은?

1) 심굴 접지 : 공중선에 가까운 지점에 수분이 많고 도전율이 양호한 경우에 사용하며 수분을 잘 흡수하는 목탄을 넣어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방식

2) 다중 접지 :  대형 안테나에서는 한 곳만 접지하는 것이 불충분하며, 안테나 기부의 전류가 밀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선망을 다중으로 구분하고, 그들에게 균등하게 전류가 흐르도록한다.

3) 방사상 접지 : 지하 0.5m~1m에 공중선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동선을 방사상으로 수십 줄 매설하는 방식

4) 가상 접지 : 암반, 건물 옥상 등 대지의 도전율이 나쁜 경우, 동판 매설이 곤란한 지역에 지선망을 대지와 절연시켜 설치하는 방식

 

6.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무선통신 기기 간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은? 블루투스

2) 초광대역, 단거리 구간에서 저전력으로 넓은 스팩트럼 주파수를 통해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기술? UWB(ultra wide Band)

 

7. 보기를 보고 알맞은 것을 빈칸에 채워 넣으시오.

<보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 호 처리 및 자원 할당, SFP 광통신을 위한 전/광 광/전 변환기능

대역 외 불필요 방사 억압기능, 원격지 RF 장치, RF 상/하향 변환. LNA(low noise amplifier)

 

 구분

대상

세부내

 

 DU

1)

2)

3)

 

 RU

1)

2)

3)

4)

 

 

 

7. 다음 설명을 보고 알맞은 설계 내용을 보기에서 골라 넣으시오.

<보기>

커버리지 설계, 준비, 전파환경 분석, 필요 물량 산출/설계, 파라미터 설계

구분 

설계내용 

설명 

 

 1)

 pilot PN설계 (핸드오프 확정)

 

 2)

 기초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설계 기준 수)

 

 3)

 실외/실내 설계

 

 4)

필요 BTS Repeater 설계, 필요 FA설계 

 

 5)

CQT 수행 및 분석 (site survey) 

 

8. 마이크로 웨이브 중계소 설치시 위치 조건 5가지

1) 대도시 근교

2) 시야가 넓고 가능하면 높은 지대

3) 전원 공급이 용이 할 것

4) 주거가 가능할 것

5) 교통이 편리할 것

 

9.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1)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기자재로 부터 전자파 방사 또는 전도 되어 다른 기자재의 성능에 장해를 주는 것

->전자파 장해

2) 전자파 장해를 일으키는 기자재나 전자파로 부터 영향을 받는 기자재가 제 47조의 3 제 1항에 따른 전자파 장해 방지 기준 및 보호기준에 적합한 것

->전자파 적합

 

10. 무선설비 기술의 기술기준의 일반적인 조건 5가지

1) 주파수 허용편차

2)점유 주파수 대역폭의 허용치

3) 공중선 전력

4) 변조특성 

5) 공중선계의 충족조건

6) 수신 설비 충족 조건

 

2019년 제1회 무선설비기사 필기,실기 한달 반 합격!_ 최종합격

2019년 제1회 무선설비기사 필기&실기_시험과목, 시험과정, 방법

무선설비기사의 모든 것! 실기 1교시 서술형(1)_ 문제풀이, 답안작성,

무선설비기사의 모든 것! 실기 1교시 서술형(2)_ 문제풀이, 답안작성,

무선설비기사의 모든 것! 실기 1교시 서술형(3)_ 문제풀이, 답안작성

무선설비기사 실기 기출 문제, 답안 작성 요령_1교시 스미스차트

무선설비기사 실기 시험 기출 공개_1교시 단답형(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