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G,LTE

5G 망 구축은 어느정도 진행되었을까?_ 5G망 구축 속도, 100%5G망은 언제쯤?

by 또롱_세상잡다 2019. 6. 19.
반응형

 

 

 

현재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으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초고속은 기존  LTE에 비해 이론적으로 20배, 

초저지연은 인간의 감각 이상의 반응솓고가 네트워크 상에 실현되는 것, 

초연결성은 수많은 IoT 기기와 연결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5G로 인해 자율주행, 홀로그램 ,VR AR  8K이상 영상데이터 초고속 전송 등 무궁무진한 발전이 기대 됩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이 가능해 지기 위해서는 5G 인프라 구축이 빠르게 진행 되어야 합니다.

 

그럼 과연 5G 인프라는 언제쯤 구축이 제대로 이뤄질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5G기본적인 통신과 영상 들을 전송하는 3,5GHz 대와 초고속 , 초지연 초연결을 구성하는 28GHz로 구성됩니다.

 

5G는  LTE보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떄문에 직신성이 강하고 회절성이 낮아

 LTE보다 2~3배 많은 기지국의 수가 필요합니다.



 

 

 

 

 

1. 18년 말 기준

 

국내 이동통신3사의 기지국 건설계획에 따르면 2023년 까지 약 18만개의 5G 기지국이 구축될 전망이었습니다.

것은 현재 LTE 망의 1/4의 수준에 불과합니다.

 

     

 

5G는 3배인 약 210만개 필요한데

 

2023년까지 약 18만개를 구축한다면 5년동안 1/12에 불과하죠

 

 

< 현재 4월5일 기준으로  구축 개수>

 

skt 

kt 

lg 

 무선국

 3만 4000

3만

 1만 8000

 의무 국축 15만에 대한 비율

22% 

20% 

12% 

 

3사 통합 약 20% 도 안되는 무선국 수로 5G를 시작한 셈이네요.

 

 


 

 


 

2. 19년 4월 기준

 

 

그런데 19년 4월 최근 기사들을 다시 보면

이동통신사 3사 통합 23만개를 연내 구축해 85개시( 전치 인구의 93%)의 동 단위 주요지역까지 

5G 서비스 수신 커버리지를 조기 확대한다는 방침을 내놓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과기정통부는 2022년까지 전국망 구축이 완료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5월부터는 원활하게 기지국 장비가 공급되어 커버리지 확충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된다고 합니다. ㅎㅎ

 

 또한 실내 수신환경 개선을 위해 이통 3사는 수도권 1~9호선 지하철 내에서도

 5G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기 위한 설비를 공동 구축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공항, 대형 쇼핑몰 등 전국 120여개 빌딩 내에서 5G 인빌딩 장비를 이용한 5G망 구축을 하여

빠르면 6월부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정리를 해보면 5년 동안 약23만개 구축 계획이 19년 년내 구축 계획으로 박차를 가한다는것!

정말 19년 내에 23만개가 된다면 전국에 망이 깔리기는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재 LTE 무선국 수가 약 70만입니다. LTE는 어딜가도 거의 끊이지 않고 사용하고 있죠

LTE에 비해 기술적으로 2~3배의 무선국이 필요한 5G가 지금 LTE 망의 수준 까지 올라오려면...

아직은 멀었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약관에 이동통신3사에 커버리지 정보제공 의무를 명시하도록 했는데요

따라서 5G 뿐 아니라 인터넷 등 커버리지 맵을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현재 5G의 커버리지가 어느정도 되는지

커버리지 맵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다음에 뵈요^^!

 

5G 스마트폰 LTE 요금제 사용 가능할까?_5G 스마트폰 LTE요금제 적용

현재 5G스마트폰을 사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_ LTE vs 5G, 다운로드/업로드 속도비교, 5G요금제

5G 커버리지는 어떻게 확인 할 수 있을까?!_ SKT,KT 커버리지 맵, LG u+는 없음!

궁금하면 클릭!!

 

 

 

 

 

 

 

반응형